“만 65세”
전 국민이 건강보험으로 임플란트 2개와 전체 틀니 그리고 부분틀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나이입니다.
건강보험 혜택을 받는 사람만해도 2019년 기준으로 임플란트는 약 58만명이, 틀니는 약 28만 5000여명이 시술을 받았는데요.
그렇다면 비보험치료까지 통계낸다면 실제 치료는 더욱 많아지겠죠.
여러분들은 평소 치아와 구강 건강 관리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시나요?
많은 사람들이 구강 건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지만 시간이 흘러 나타나는 노화까지는 막을 수 없죠.
노화가 진행되며 잇몸이 손실된다면 이는 치아의 탈락으로까지 이어지는데요.
결국 치아 전체가 없어진다면 임플란트 또는 전체틀니를 해야합니다.
이렇게 많은 치아를 잃어버리게 되면 어떤 치료를 받을 수 있을까요?
임플란트치료가 자리잡기 전에는 틀니를 많이 사용했습니다.
틀니는 보철물을 구강점막에 흡착하여 사용하는데요.
하지만 많은 잇몸뼈가 소실됐다면 틀니가 잇몸에 잘 유지되기 힘들어 효과적으로 음식을 씹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무리 잘 만들어진 틀니라도 전체 치아가 있는 것에 비해 씹는 힘은 평균적으로 약 30%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에 비해 임플란트 치료는 전체 자연치 상태의 약 80~90% 이상으로 씹는 힘을 회복할 수 있는데요.
그래서 구강 건강의 조건만 된다면 틀니보단 강남전악임플란트를 많이 선호합니다.
전악임플란트란?
전악임플란트는 상악과 하악에 각각 8~12개의 임플란트를 심은 뒤 여기에 치아 머리가 여러 개 붙어 있는 보철물을 씌우는 방식인데요.
하지만 전악임플란트를 하기 위해선 충분한 양의 잇몸뼈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잇몸병을 겪어 위턱이나 아래턱 모두 잇몸뼈가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 부족한 뼈의 양을 보강할 수 있도록 뼈 이식과 같은 시술을 먼저 진행한 후 전악임플란트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전악임플란트 몇 개가 필요할까?”
앞서 말씀드렸듯이, 전악임플란트를 하는 경우 상하악 각각 8~1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치아머리를 씌우는데요.
치아머리 한 개당 하나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으면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식립한다면 임플란트의 간격이 좁아져 예쁘게 만들기도 어려우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청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0개 정도의 임플란트를 적절한 간격으로 심는 것이 손쉽게 임플란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물론 환자의 씹는 습관이나 선호하는 식습관에 따라서 임플란트 개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4개의 임플란트 만으로도 전악임플란트를 하기도 했지만 간혹 임플란트 하나가 문제가 생길 경우
전체임플란트 치아를 새로 만들어야할 수 있으니 최소 6개의 임플란트로 힘을 분산시켜
전악임플란트를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왜 임플란트 힘을 분산시켜야할까?”
전악임플란트를 할 때 중요한 것은 씹는 힘을 잘 분산하는 것인데요.
사람의 치아에는 다양한 씹는 힘이 가해집니다.
하지만 임플란트는 옆에서 가해지는 힘에 약하답니다.
그러니 씹는 힘을 수직으로 받을 수 있도록 치아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미리 적절하게 임플란트 위치를 잡아야 합니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가이드 임플란트를 통해 미리 치아의 크기와 위치를 정하고
이에 따라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정해주는 가이드를 삼차원 프린터로 만들어 시술에 이용하는
좀더 정확하고 정밀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해졌습니다.
전악임플란트를 오래 쓰기 위해선 관리 역시 중요합니다.
최소 6개월에 한번씩 치과에 방문해 전문가에게 관리를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칫솔질 뿐만 아니라 치간칫솔, 굵은 치실, 워터픽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관리한다면 건강하게 맛있는 음식을 오랫동인 즐기실 수 있을거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