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이나 올리브영 같은 드럭스토어에 가보면 구강스프레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구강스프레이는 입냄새를 없애기 위한 제품인데요. 가끔씩 뿌리는건 괜찮지만,
스프레이를 자주 뿌리는건 입냄새를 없애려다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내 입냄새가 느껴질까봐 걱정되어 뿌렸지만,
구강스프레이는 알코올을 많이 함유해 자주 사용하면 타액선 위축으로
오히려 침이 잘 나오지 않거나 곰팡이류인 진균이 늘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입냄새가 걱정이라면 치과에서 구취측정을 한번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입냄새를 느끼지만, 본인만 느낄 수 있는 가벼운 정도의 입냄새인 경우가 많습니다.
서울탑치과에서 검사할 수 있는 구취측정기라는 장비는 숨을 쉴때 그리고 입안의 공기 중에 좋지 않은 향을 가지는
황화합물이나 암모니아와 성분들을 측정해서 실제로 입안에서 얼마나 냄새가 나는지를 수치료 표시해 주는 기계입니다.
구취측정기계로 입냄새의 정도를 수치화 한 후 구취증이 평소에 정상적인 원인인지
아니면 비정상적인 원인이 있는 것인지 구분하여 원인에 따라 치료를 해야하는데요.
정상적인 원인
실제로는 건강한데 일시적인 원인과 컨디션 상태에 따라 냄새가 나는 경우
- 음식을 먹고 난 후
- 아침 기상 시
- 공복 시
- 피로 시
- 임신이나 월경 시
비정상적인 원인
구강 내의 원인
- 잇몸 염증, 충치, 그리고 보철물이 있는 경우
- 잇몸 점막이나 혀에 백태가 끼는 경우
- 코나 목에 문제가 있는 경우(비염이나 축농증, 게실 등)
전신적인 원인
전신적인 경우에는 치과적인 검진 또는 치료 후 전신적인 검진을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좀 더 효율적
- 당뇨
- 간이 좋지 않은 경우
- 신장이 좋지 않은 경우
앞서 말한 본인만 느낄 수 있을 정도의 가벼운 입냄새 정도.
즉, 타인은 느끼지 않는데 나만 또는 아주 친근한 가족만이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입냄새를 자취증이라고 하는데요.
과거의 분류법인데 이런 경우는 따로 질병으로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많거나 불안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입냄새가 아주 적더라도 정신적으로 크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어
이에 대한 치료가 따로 필요합니다.
또 침의 분비가 적거나 입을 벌리고 자는 구호흡의 경우에도 입냄새가 심해질 수 있어 이에 대한 검사와 진단이 필요합니다.
입냄새를 줄이는 방법은 먼저 자극적인 음식은 줄이고 섬유소가 많은 음식 섭취를 늘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또 미리 구강 검진을 통하여 구강 내 입냄새가 날 수 있는 요인들을 조절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대로 입냄새가 느껴진다면 전신건강이 원인일 수 있기 때문에 꼭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