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들의 가지런하고 하얗게 빛나는 우윳빛 치아. 부러워하신 적 없으신가요?
이런 치아들은 교정뿐만 아니라 앞니 앞면을 갈아내고 치아에 도자기를 붙이는 ‘라미네이트(laminate)’라는 치료로 만들어내는데요.
가지런하고 하얀 치아로 연예인처럼 예쁜 미소 지은 사진을 찍을 수 있기 때문인지 한창 라미네이트가 유행했던 적이 있는데요.
하지만 라미네이트는 자연치아를 삭제하기 때문에 잇몸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어렵습니다.
치아를 갈아내기 때문에 시림 증상이 나타나 신경치료가 병행되기도 하는데요.
따라서 치료계획부터 치밀하게 세워 접근해야 한답니다.
라미네이트를 받으셨다는 환자께서 치료를 받으시러 오실 때, 직접 보면 라미네이트가 아니라 치아 전체를 감싸는 올세라믹 크라운 치료를 받은 경우가 많습니다.
두 치료방법은 비슷하고 임상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지만, 치아 신경치료를 하거나 형태•배열을 바꾸는 경우에는 라미네이트보다 올세라믹 크라운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답니다.
그렇다면 라미네이트와 올세라믹, 도대체 무슨 차이점이 있는 걸까요?
먼저 공통점부터 찾아볼까요?
두 치료의 공통점은 투명하고 치아가 밝아 보이기 위해 얇은 도자기로 제작된다는 것입니다.
도자기를 사용해서 하얗고 예쁜 치아를 만들어 주는거죠.
그렇다면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먼저, 라미네이트 치료는 치아의 앞면과 씹거나 자르는 절단면까지 도자기 치아로 덮어줍니다.
때로는 치아 안쪽의 뒷부분까지 연장되기도 하지만 치아 전체를 감싸지는 않습니다.
반대로 올세라믹 크라운 치료는 치아 전체를 삭제해 금속이 없는 100% 도자기 치아로 덮는 것을 말하는데요.
크라운 치료를 한다고 할 때 골드크라운과 지르코니아 크라운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죠?
이렇게 치아 전체를 덮어주는 치료를 크라운치료를 했다고 표현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올세라믹 크라운 치료는 라미네이트 치료라기 보단 크라운치료를 했다고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올세라믹 크라운은 다소 약하기 때문에 안쪽에는 약간 불투명한 지르코니아를 쓰고
치아의 바깥면은 투명한 도자기를 사용하면 심미성과 단단함을 동시에 잡아줄 수 있는데요.
단단하고 심미성 좋은 지르코니아. 어떤 재료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그렇다면 다음시간에는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골드 크라운에 대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